본문 바로가기
생활리뷰/후기

6년차 7급 공무원 월급 실수령 현실 후기(행정공제회 복지혜택)

by 몽키파워 2023. 10. 8.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지방에서 5~6년 차 근무 중인 7급 공무원의 현실에 대해서 얘기해보겠습니다.

 

목차

    1. 7급공무원 현실

    2. 월급과 수당 

    3. 각종 복지 혜택 


    공무원 현실 

    철밥통이라고 부르던 공무원,, 제가 일해 보면서 느낀 점은 공무원 경쟁력이 떨어질만하구나 생각합니다. 

    저는 2018년에 임용돼서 근무하고 있는데요. 저때만 해도 경쟁률이 50:1 정도 되었습니다. 시골입니다. 경기도나 

    서울로 가면 200:1 할 때죠.  지금은 30:1로 엄청 떨어진 것 같습니다.

    그럴만합니다.

     

    겸직허가도 안되고 월급도 200~250 정도 되는 박봉이고, 공무원 대우도 안 해주고 민원인한테 맨날 욕먹는데 

    일은 힘든데 금융치료가 안되니 다 떠나는 것이죠. 의원면직비율이 9~8급 공무원들 비중이 정말 높습니다. 

     

     


    월급과 수당

    인사혁신처에서 가져온 봉급표입니다. 물가상승 4~5% 시대에 우리 월급은 매년 평균 1~2% 인상에 그치고 있습니다.

    월급이 전년보다 10만 원 오른 거고 연봉으로 보면 전년대비 120만 원 오른 꼴에 그치지 않습니다. 

    처음 들어오면 9급으로 들어옵니다. 남자의 경우 2년 군대경력인정해 주니 3호봉으로 시작하고요. 여자의 경우에는 

    1호봉으로 시작하니 본봉은 170만 원입니다. 모든 수당은 본봉을 기준으로 계산하기에 처음 들어오면 

    200만 원을 못 넘깁니다. 그걸로 한 달을 살아야 하죠... 하하하. 

    보통 8급을 다는데 2년 정도 걸리고 7급을 다는데 3~4년 정도 걸리는데 지자체마다 다르긴 합니다. 

    아무튼 6년을 해야 7급을 다는데 급수 승진 시에 호봉은 1호봉이 차감돼서 승진합니다. 

    그래서 급수 승진 시에는 한 15만 원 정도 내 월급이 인상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제가 6년 차로 7급 6호봉인데 본봉은 245만 원 정도 됩니다. 하지만 기여금(공무원연금)과 소득세, 4대 보험비등을 

    공제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월에는 설날이 있고 9월에는 추석이 있기에 명절휴가비가 들어옵니다. 3월에는 성과상여금이 들어와서 실수령이 높습니다. 나머지 월을 보면 대략 이백 초중반이죠. 7급 실수령 월급이 200 초반이라는 겁니다. 저기에는 어떤 것이 포함되어 

    있냐면 아래와 같습니다. 

     

    23.8월분 실수령입니다. 290만 원입니다. 거의 300 가까이 되죠?

    시간외근무수당보시면 77만 원입니다. 그만큼 한 달에 57시간의 초과근무를 해야 300가까이 됩니다...

    한달에 기본 8시간 근무 외 57시간을 찍으려면 주말에 매일 나와야 57시간을 채울 수 있습니다. 

    내 시간이 없으면 290 받고 초과 안 찍으면 220 정도 받아갑니다. 

     

    특수지묵수당은 복지직이나 소수직렬일 경우 지급을 해줍니다. 정액급식비랑 직급보조비 대민활동비는

    무조건 나오는 수당입니다. 가족수당은 부양가족이 있으면 주고요. 

     

    공제되는 것을 보면 건강보험 12만 원

    기여금은 31만 원인데 나중에 공무원연금으로 받으려고 공제되는 겁니다. 

    대한공제회비는 행정공제회비로 공무원 적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복리상품이며 금리는 일반 시중은행보다

    2% 정도 높습니다. 다만 퇴직 시 수령받는 것으로 퇴직연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식대는 구내식당 이용하는 월급 수령 전 원천징수되는 금액이고요. 공무원 노조조합비는 2만 원 떼갑니다

    소득세랑 지방소득세 합쳐서 거의 28만 원이나 떼갑니다. 이게 제일 아까운 부분... 너무 떼가요...

     

    여기에 한 달에 1번 정도 당직근무에 들어가고 근무 시 6만 원에 다음날 대체휴무를 줍니다. 야간근무를 서는 것이니까요.

    그러고 한 달에 출장은 평균 6~10회 사이이니 한번 출장 시 1만 원 꼴이니 

    당직과 출장을 합치면 달에 15만 원 정도 받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출장을 안 나가는 부서에 배치되면 출장비는 0원...

     

    월급은 초과근무 안 할 시 대략 220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연봉은 대략 3400 수준.. 하지만 한 달에 

    100만 원 이상 쓴다고 가정하면 1년에 저축할 수 있는 금액은 1500만 원 수준.. 1억 모으려면 몇 년을 일해야 하는지

    감이 오시죠? 

     

    n잡러 하는 시대에 겸직허가 안됩니다. 다만 임대사업자로 사업자 내면 겸직은 가능합니다. 하지만 공무원 하는 사람 중에

    건물 있는 사람이 있나요?? ㅎㅎ.....

     


     

    복지혜택은?

     

    복지는 육아휴직에 아주 강점이라는 것이죠. 육아휴직을 1년 정도 눈치는 보이긴 하지만 쓸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본봉의 80% 정도 나오고 휴직기간에도 공제금이 떼집니다. 그러니 뭐 계산하다 보면 실수령은

    휴직시 80~100만 원 사이라고 합니다... 못 살죠. 

     

    그래서 대부분은 육아시간이란 걸 사용합니다. 자녀가 만 6세가 되기 전까지 하루에 2시간씩 월 30시간 이내로 제한

    되어 있습니다. 조퇴해서 육아하라는 것이죠...

     

    다음은 복지포인트입니다.

     

    6년 차 기준으로 대략 120만 원 줍니다. 이것으로 내가 사고 싶은 거 살 수 있어요. 카드와 연동이 되어서 

    카드 긁고 나서 추후 소명해서 환급받는 식입니다. 미용이나 주유, 편의점등 일상생활 모든 것을 결제가능합니다. 

     

    poba라고 해서 행정공제회 사이트입니다. 여기서 공무원들 대상으로 매월 숙박권 이벤트도 하고 

    출산한 공무원이 있으면 출산급여 1회성 20만 원 주기도 하고 다친 공무원이 있으면 요양급여 1회 20만원 주기도 합니다.

     

    공무원의 복지혜택은 육아휴직 잘 쓴다는 것, 복지포인트 나오는 것, 대출 시 일반인들보다 조금 더 잘 받을 수 있다는 것 

    외에는 크게 느껴지는 바가 없습니다. 

     


     

     

     

     

    마무리

    그 외에 하고 싶은 말들이 많으나.. 여기서 삼가고요.

     

    아주 박박 합니다. 월급이 300은 되어야 살 수 있는데 말이죠.. 

     

    그럼에도 공무원을 준비 중이시고 이제 공부할 예정이라고 하시는 분들은 

     

    제가 쓴 전자책 참고해 보세요. 지방직으로 첫 임용되고 나서 알면 좋은 것들과 현직시 활용하는 실무들을 

    정리했으니까요.. 임용 전이나 공부 전에 한번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5년차 공무원의 진짜 실무를 담은 책 드립니다. - 크몽

    실전공무원 전문가의 전자책 서비스를 만나보세요. #서비스 소개 합격하면 퇴사하기까지의 공무원 생활에 대해 정말 세세하게 알려드립니다.지방직...

    kmong.com

    https://kmong.com/self-marketing/348444/6JacWViygG

     

    728x90
    반응형

    댓글


    .book-toc { border: 1px solid #ccc; padding: 10px 10px 0px 15px; background-color: #f5f5f5; } .book-toc ul { list-style-type: decimal; } .book-toc p { font-weight: 550; margin-bottom: 7px; } #toc * { font-size: 17px; color: #676767; } #toc a:hover { color: #f00; } #toc ul { margin-bottom: 0px; margin-top: 5px; } #toc > li { margin-bottom: 15px; } #toc { margin-left: 10px; } #toc > li > ul li { margin-bottom: 5px !important; }